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최만리 ‘훈민정음’과 상당한 불편한 관계로 기억되다
입력 : 2025-02-08 22:52

 

본문이미지

▲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박재성  

 

 

   최만리(崔萬理, ?1445)

   500여 년의 시공을 넘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리 낯설지 않다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한 대표적 인물



 

왜냐하면 그는 우리 민족의 가장 소중한 문화유산 중 하나로 평가되는 훈민정음과 상당한 불편한 관계로 기억되고 있다그 불편한 관계는 널리 알려져 있듯이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한 대표적 인물이었다는 낙인이 찍혀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간단히 살펴볼 최만리의 삶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세종의 핵심 관서인 집현전에서 약 25년을 근무해 실질적인 장관인 부제학에 오르고 청백리에도 선정되었다는 사실은 그런 평가의 주요한 논거다그러나 지금 대부분 사람에게 그는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한 부정적 이미지의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조금 거창한 이야기지만학문의 목표는 이미지와 사실의 차이를 명확히 밝히고 그 간격을 될 수 있는 대로 좁혀나가는 것이 아닐까생각한다이를테면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 반대다모든 위대한 과학적 발견은 그렇게 이미지에 가려져 있던 진실을 규명하고그것을 공인받는 여정이었다.

 

최만리와 관련해서도 그에게 덧씌워진 이미지에 부당한 측면이 적지 않다는 지적은 이미 여러 차례 나왔다수긍할 만한 측면이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본격적으로 연구한 것은 아니지만이런저런 자료를 살펴보면서 아마 그는 시대적 상황에 충실했던 인물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몇 차례 나누어서 다뤄보려고 마음을 먹었다.

 

당시는 물론 조선시대 전체를 지배한 기본적인 사상은 성리학이었다그것의 기본적 외교 방침의 하나는 사대(事大)이른바 최만리의 갑자 상소의 핵심적 논리는 바로 사대였다.

 

중세 서양에서 기독교의 원리를 공개적으로 부정할 수 있는 지식인은 아마 거의 없었을 것이다있었다면 그의 이름에는 이단이라는 낙인이 뚜렷하게 찍혀 지금까지 널리 알려졌을 것이다마찬가지로 조선에서 사대라는 기본 원리를 부정할 수 있거나 그렇게 하려는 지식인은 거의 없었으리라는 것이 중론이다.

 

그것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도 마찬가지다다만 세종은 훈민정음’ 창제가 사대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지만최만리는 그러지 못했다그는 그 시대의 조건에 충실했지만그의 분명한 한계였다.

 

식자층 양반 대부분이 훈민정음 창제 후 오래도록 훈민정음을 암글’, ‘아햇글’ 등의 우롱 섞인 별칭으로 천시하며 실생활에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그것이 보편적 한계였음을 또렷이 보여준다최만리와 관련해서는 이런 측면을 깊이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다음에 계속 이어집니다.)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박재성


시민방송뉴스통신용인 앱다운 받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만원
  • 3만원
  • 5만원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by 시민방송뉴스통신(용인) Co.Ltd. All Rights Reserved.